회계이야기/회계실무
[과세표준]이란? 종합소득,
별찾아~
2018. 4. 3. 11:52
반응형
세금에 대해 조금만 관심을 가지다 보면 과세표준이라는 단어를 보게 됩니다. 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해 납부할 세금을 구한다고 하는데 과세표준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 과세표준이란?
세법에서 세액계산의 기준이 되는 금액으로, 각 세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계산됩니다. 따라서 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하면 산출세액이 나옵니다. 과세표준의 계산방법은 세목에 따라 다른데, 예를 들면 소득세는 각 개인의 연간 소득금액을 기초로 하여 과세표준을 계산하고, 부가 가치세는 과세기간 동안의 사업자의 공급가액을 기초로 하여 계산합니다.
▶종합소득세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법으로 정해진 소득의 종류는 8가지(이자, 배당, 사업, 근로, 연금, 기타, 퇴직, 양도소득)입니다. 이중 퇴직소득과 양도소득을 제외한 6가지의 소득을 모두 합산하여 신고하는 것이 종합소득세 신고입니다. 이 6가지의 소득을 합산한 종합소득금액에 바로 세율을 곱하는것이 아니라, 여기에 일정요건을 충족할 경우 소득공제라 하여 차감을 해주는 것입니다.
▶근로소득에 대해 연말정산을 할 경우에도 종합소득세와 마찬가지로 소득공제후 과세표준이 나오게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