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90

원리금균등상환 vs 원금균등상환 차이점

요즘 금리 상승으로 주택담보 대출금리가 올라 사람들을 힘들게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가계대출금액이 GDP 대비 세계 1위라는 기사도 있습니다. 그래서 한은이 금리를 올리는데 상당히 제약을 받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기준금리 상단을 3.5% 정도 예측하는 전문가들도 많습니다. 그럼 대출을 받을 때 금리 외에 대출 상환방식을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원리금 균등상환과 원금균등상환 중 어떤 것이 자신의 상황과 잘 맞는지 살펴보고 선택하면 될 것 같습니다. ◆ 원리금균등상환 말 그대로 원금+이자를 합쳐 매월 동일한 금액을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대출 기간 동안 같은 금액을 상환하기 때문에 자금흐름 계획을 파악하기 쉽습니다. 반면에 매월 갚아나가는 원금이 적어 원금균등상환 방식보다 이자를 더 ..

dnld13 OTP카드 오류

은행마다 OTP카드가 다릅니다. 농협, 수협의 경우 OTP가드 뒷면에 유효기간이 적혀 있어 언제 은행을 방문해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반면에 국민은행은 제조년월이 뒷면에 적혀있습니다. otp에 dnld13 이 뜨기 전까지 계속 사용 가능합니다. 그런데 갑자기 dnld13이 뜨면 당황스럽겠지만 빨리 은행에 서류를 준비해서 방문하는 것이 방법입니다. ▣ 법인 OTP 고장(dnld13) 재발급 필요서류 일반적으로 법인의 업무는 대표이사 보다는 직원이 방문하게 되니 대리인이 방문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1. 사업자 등록증 2. 법인등기부등본(=등기사항전부증명서) 3. 위임장(법인인감도장 날인) + 대리인 신분증 4. 법인인감증명서 5. 법인인감도장 또는 사용인감(사용인감을 가지고 갈 경우 법인..

정기예금, 저축보험 가입시 주의점

요즘 시중 금리 인상으로 이자율에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금리가 인상될 때마다 증권사, 은행, 보험사 등에서 문자가 오고 있습니다. 정기예금 4.5%, 저축공제 5.7%, 증권사 CMA 금리가 변동된다는 것 등입니다. 그중 예금과 저축보험의 차이점은 알아두시는 게 좋을 것 같아 적어보려 합니다. ■정기예금 VS 저축보험의 차이점 1천만원을 5% 정기예금과 저축보험에 5년 가입한다고 가정을 하고 설명하겠습니다. ▶정기예금 정기예금은 말 그대로 1천만 원 원금에 이자율 5%면 1년 후 이자 50만 원을 합쳐 10,500,000만 원을 받게 됩니다. 여기에 이자소득세 15.4%를 빼면 실제로 내 통장에 입금되는 금액은 10,423,000원입니다. 5% 금리라면 장기로 가입하면 좋겠지만 보통 1년 만기 상품이 대..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란?

요즘 삼 프로 tv를 자주 봅니다. 그중 김영익 교수님이 선행지수 순환 변동치를 보라는 말을 합니다. 주식 투자를 하고 있지만 각종 지표를 보거나 공부를 하기보다 누군가 이 주식 좋다고 하면 따라가는 편입니다. 자주 듣다 보니 선행지수 순환 변동치가 무엇인지는 알고 있어야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찾아보았습니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Cyclical Component of Leading Index) 선행지수 순환병동치란 추세 · 순환계 열인 선행 종합지수에서 추세 요인을 제거하여 산출한 것으로, 향후 경기의 국면 및 전환점을 단기 예측하는데 활용합니다. 통상 지표가 현재까지 와 반대방향으로 2분기 이상 연속하여 움직이면, 이 시점을 경기 전환점 발생 신호로 보고 여기에 과거 평균 선행 시차를 더하면 향..

2023년도 최저임금 실수령액

2023년도 최저임금이 9,620원으로 전년도 9,160원보다 460원(5%) 올랐습니다. 최저임금 협의는 노사가 합의를 이루지 못해 공익위원들이 제시한 최저임금 단일안인 9,620원을 표결을 통해 결정된 것입니다. 이에 노사 모두 강하게 반발하면서 이의 제기 등 갈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저임금법에 따르면 최저임금위원회가 의결된 내년도 최저임금안을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제출하고 고용노동부가 이의제기 절차 등을 거쳐 8 월 5일까지 최저임금을 고시하면 내년 1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합니다. 2023년도 최저임금을 월 단위로 계산하면 2,010,580원(월 노동시간 209시간 기준) 입니다. 2023년도 최저임금은 2023.01.01~2023.12.31일까지 사업의 종류와 구분 없이 모든 사업장에 ..

퇴직연금 etf 추천 S&P500

일을 시작할 때 어떤 일을 먼저 시작하나요? ◆중요하고 급한 일, ◆중요하고 급하지 않은 일, ◆중요하지 않고 급한 일, ◆중요하지 않고 급하지도 않은 일. 대부분의 사람들은 중요도보다 급한일을 먼저 시작한다고 합니다. 시간이 흐른 후 차이를 만든 것은 중요하고 급하지 않은 일을 꾸준히 한 사람입니다. 나에게 중요하고 급하지 않은 일은 노후준비입니다. 그래서 증권사 계좌에서 퇴직연금 계좌를 만들어 꾸준히 S&P500ETF를 사는 것을 시작했습니다. ◆ETF 선택 시 주의점 보통 미국 대표지수인 S&P500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보면 S&P500, S&P500 TR로 나누어집니다. 이 둘의 차이점은 배당을 바로 현금으로 돌려주는 것과 배당 등의 분배금을 현금으로 돌려주는 대신 자동으로 재투..

패시브 펀드 , 액티브 펀드

삼 프로를 보다 보면 잘 모르는 단어를 많이 듣게 되는데요 그중 패시스 , 액티브라는 단어를 자주 듣게 됩니다. 대충 이해를 하고 넘어가곤 하는데 좀 더 정확히 알아보려 합니다. ◆패시브 펀드(Passive Fund) passive의 사전적 의미는 '수동적인', '소극적인' , '수동태'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패시브 펀드는 이름 그대로 시장의 흐름을 그대로 따라가기 때문에 수익률도 시장 평균만큼만 올릴 수 있는 펀드입니다. 패시브 펀드는 시장이 장기적으로 우상향 한다는 전제를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코스피 200 지수 혹은 S&P500지수 등을 추종하는 펀드라면, 코스피 200 지수 나 S&P500지수에 들어 있는 주식들을 편입해서 운용하게 됩니다. 만약 코스피 200 지수를 추종하는 펀드에 가..

퀀트 투자 뜻

주식투자를 할때 자신만의 주식투자 원칙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하지만 투자원칙이 금방 생기는 것도 아니고 귀 얇은 저는 그때그때 소문과 감으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뭔가를 알아야 나만의 투자원칙이 생길것 같아 퀸트 투자가 무엇인지 알아 보는 중입니다. ■퀸트(QUANT) 투자란? 계량화된 객관적인 수치를 이용해 투자하는 기법입니다. quantitative(계량적, 측정할 수 있는)와 analyst의 합성으로 수학 통계에 기반해 투자 알고리즘을 만들어 투자에 활용합니다. 각종 경제지표 즉, 매출액, 영업이익, PBR, PER, ROE 등 계량적인 데이터를 기초로 투자 알고리즘을 만들어 매매하는 것입니다. 반면 브랜드가치나 기업 평판, CEO의 자질, 미래전망치 등 주관적인 항목들은 계산할 수 없기에..

NFT 란? 민팅 뜻

최근에 nft란 단어가 자주 나오고 있습니다. 얼마 전 엔터테인먼트, 게임 회사들이 nft에 진출한다고 해서 주가가 오른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nft가 뭔지 알아볼까요? ■NFT(Non-Fungible Token)란? 사전을 찾아보니 [ fungible 은 대체가능의, 다른 것으로 대신할 수 있는]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다른 것으로 대체할 수 없는 토큰입니다. 디지털 자산의 최대 약점은 원본의 개념이 모호하다는 것입니다. 만약 내가 뷔의 사진을 찍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그 파일을 나도 가지고 있으면서 친구에게 선물로 줬습니다. 과연 어느 파일이 원본일까요? 디지털 세상에서 복사본이 원본이 아니라고 할 수 있을까요? NFT는 디지털 자산의 최대 약점이 이 문제를 보완하는 것입니다...

연말정산 체크카드 vs 신용카드

연말정산을 미리미리 점검해 볼 시기입니다. 11월 12월 두 달간 체크카드를 사용하는지 신용카드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공제금액이 달라지기 때문에 지금쯤 점검을 해 보세요. 국세청 홈텍스에 들어가면 1월~9월까지 사용한 신용카드 등의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 공제를 받기 위한 첫번째 조건은 총 근로소득의 25% 이상을 신용카드를 통해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연 5,000만 원을 받는다면 최소 1,250만 원 이상을 사용해야 세금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1월부터 사용한 금액이 25%를 넘는다면 신용카드보다는 체크카드나 현금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신용카드 공제율은 15%, 체크카드, 현금영수증의 공제율이 30%이기 때문입니다. ■홈텍스 카드사용내역 확인하기 로그인 한 후 연말정산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