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면좋은이야기 165

[자본금 과 자본]의 차이점은?

자본은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으로 자본이라는 항목안에 자본금, 자본잉여금등이 있습니다. ■ 자본금이란? 회사가 발행한 주식수에 주당 액면금액을 곱한것이 말합니다. 예를 들어 회사가 발행한 주식이 3만주이고 액면가가 1만원일경우 자본금은 3억원이 됩니다. 자본금은 재무상태표 외 법인등기부등본에서도 확인할수 있습니다. ■ 자본이란? 회사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입니다. 일반적으로 자본금보다 자본이 더 큽니다. 회사가 영업활동을 통해 이익을 얻게 되면 회사의 순자산이 늘어나기 때문에 자본금보다는 순자산금액이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위의 재무상태표를 보면 자본금이 3억이고 영업활동결과 이익이 발생하여 이익잉여금이 쌓여 자본이 33억에 이르고 있습니다. 반대로 아래의 표를 보면 회사가 영업활동 결과 손실..

[재무제표]로 알수 있는것

재무제표는 한 기업의 모든 상황을 한 눈에 들여다 볼수 있는 것으로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및 주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외부감사 대상기업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접속해서 감사보고서를 확인할수 있습니다. 감사보고서는 회사가 작성한 재무제표가 회계기준에 따라 제대로 작성되었는지를 공인받은 외부전문가(공인회계사)가 검토하고 감사의견을 밝힌 보고서입니다. ■재무제표란 ▶재무상태표 : 결산일 현재의 자산 부채 자본의 잔액을 나타냄으로 기업의 재무안정성 정보를 확인할수 있습니다. ▶손익계산서 : 회계기간(1년)동안의 경영성과를 나타내는것으로 수익에서 비용을 뺀 이익을 나타냅니다. 즉, 경영성과를 반영한 표입니다. ▶이익..

[2018 삼성전자]배당금 42,500원

2018. 3. 23일 삼성전자 정기주주총회 결과를 보면 2018년 보통주기준 삼성전자 총배당금은 42,500원으로 기말배당금 21,500원, 중간 분기 배당금이 21,000원이었습니다. 시가배당률 1.7%로 2017년 12월28일 종가기준이 2,548,000원입니다. 2018년 배당금은 배당기준일(2017.12.28) 주가가 2,548,000원 X 1.7% = 43,316원으로 작년보다 배당금(28,500원)이 증가한 것을 알수 있습니다. 배당금은 주주총회일(3월 23일)로부터 한달내로 지급하게 되어 있습니다. ※ 시가배당률이란 연말의 배당 기준일의 주가에대해 배당금이 주가의 몇%인가를 나타내는것입니다. [주식]삼성전자액면분할 50대1, 삼성전자배당율

[봄소식]장수매, 봄꽃

봄꽃 소식이 여기저기서 들려오고 있네요~ 봄맞이 꽃나무로 장수매를 가져왔습니다. 장수매는 매화나무매(梅) 핀꽃이 오래간다고 하여 길장(長) 목숨수(壽)로 '장수매'라 부릅니다. 장수매는 매화나무가 아닌 명자나무의 일종이랍니다. 분재하는 분들이 좋아 한다고 하는데 저는 꽃이 예뻐서 구입했습니다. 아직 꽃이 피지 않은 여리여리한 상태의 모습입니다. 물을 뜸뿍주고 햇빛이 잘 드는 창가자리로 옮겨줬는데요~ 며칠 지나지 않아 꽃이 피기 시작했습닌다. 또 며칠후 활짝핀 꽃과 옆에 있던 작은 꽃봉우리가 또 열렸습니다. 맛없는 수도물과 미세먼지가득한 햇살을 받고 잘자라고 있어 다행입니다. 봄꽃들의 소식이 여기저기 널려있네요 여기도 꽃 저기도 꽃들~ 맑고 푸른 하늘이면 이쁜 꽃들이 더욱 선명할텐데 요즘 미세먼지때문에 꽃..

[대출]DSR란? LTI, RTI

2018. 03. 26일부터 총부채상환능력비율(DSR)제도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금융기관에서 26일부터 적용되고 상호금융권(신협, 새마을금고 등)은 7월부터 시범 운영할 예정입니다. 시중은행들은 신규 대출자 개개인에 DSR비율을 산정해놓고, 향후 6개월간 시범운영후 오는 10월 금융당국이 고(高)DSR 기준을 제시하면 은행들은 고DSR대출을 전체 은행 여신의 일정 수준을 넘지 않도록 관리할 예정입니다. ■ DSR (총부채상환능력비율) 현재 5대 시중은행은 DSR 관리기준을 100%로 잡고 있습니다. DSR은 1년간 갚아야 할 모든 대출의 원리금을 연간 소득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주택담보대출뿐만 아니라 신용대출, 마이너스 통장, 할부금 등 모든 대출을 포함하는데 이 비율이 150~200% 수준을 ..

[전세]묵시적 갱신vs 재계약, 재계약시 주의점

부동산 임대차계약 연장에서 잘 아는듯 하지만 헷갈리는 것이 묵시적갱신과 재계약입니다. 묵시적갱신과 재계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택임대차 보호법 제6조(계약의 갱신) ① 임대인이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에 임차인에게 갱신거절(更新拒絶)의 통지를 하지 아니하거나 계약조건을 변경하지 아니하면 갱신하지 아니한다는 뜻의 통지를 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기간이 끝난 때에 전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임대차한 것으로 본다. 임차인이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1개월 전까지 통지하지 아니한 경우에도 또한 같다. ② 제1항의 경우 임대차의 존속기간은 2년으로 본다. ③ 2기(期)의 차임액(借賃額)에 달하도록 연체하거나 그 밖에 임차인으로서의 의무를 현저히 위반한 임차인에 대하여는 제1항을..

[국민연금]추후납부제도, 추납, 반환일시금 소멸시효

2018년 1월 25일부터 국민연금 추납 가능기간이 확대되고 반환일시금 청구기한이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되었습니다. 이번 추후납부 관련 제도 변경은 반환일시금을 수령했다가 되갚은 사람들만이 대상입니다. ■추후납부(추납)제도란? 국민연금 가입 중 실직 등으로 보험료를 납부할 수 없었던 납부예외기간 및 과거 국민연금 가입 후 보험료를 납부하다가 가입대상에서 제외되었던 적용제외기간에 대하여 추후 납부능력이 있을 때 연금보험료를 추후납부하는 것입니다. ■반환일시금 이란? 국민연금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사람이 노령ㆍ장애ㆍ유족 연금의 수급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국민연금가입 중에 납부한 보험료에 일정한 이자를 더해 보험료를 돌려 받는 것을 말합니다. 현재 반환일시금을 받기위해 가입기간이 10년미만이거나 사망, 이..

[아파트]면적의 종류, 1평의 크기는

아파트 분양 광고를 보면 전용면적, 분양면적, 계약면적, 서비스면적등 여러 면적들이 나옵니다. 아파트 면적에 대해 정확히 알아야 좀 더 정확한 가치평가를 할수 있을 것입니다. ■전용면적 각 세대가 독립적으로 사용할수 있는 면적으로 방, 거실, 주방, 화장실등이 해당됩니다. 내가 실제로 사용할수 있는 면적입니다. ■공급면적 전용면적과 주거 공용면적을 합친 면적을 말합니다. 아파트를 분양받을때 몇평이라고 하는 것은 공급면적을 말하는것입니다. 34평형을 예로 들면 공급면적이 112㎡, 전용면적 84㎡ 가 됩니다. 제곱미터를 평으로 환산하려면 제곱미터 x 0.3025를 하면 됩니다. 112㎡ x 0.3025 =33.88평이 나옵니다. 반대로 평을 제곱미터로 바꿀경우 평에 3.3을 곱해주면 됩니다. 34평 x 3..

건축법상 면적, 건폐율, 용적율, 용적률구하기

아파트 재건축시 용적율이 높아야 수익성이 있다는 기사를 보신적이 있을 겁니다. 용적율이 높다는 것은 건축물 각층의 건물을 높게 지을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즉 전체 가구수를 증가시켜 주민들의 재건축 비용 부담을 줄여준다는 말입니다. 이처럼 들어본적은 있는데 정확한 의미가 헷갈리는 부동산 용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건축법상 면적의 종류에는 대지면적, 바닥면적, 건축면적, 연면적이 있습니다. 이들 면적은 건폐율과 용적률의 산정기준이 되며, 그 이외의 건축 시 지켜야 할 법규의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 대지면적 대지의 수평투영면적을 말합니다. 건축법상 대지면적이란 건축허가를 신청한 토지 중에서 건축이 가능한 토지면적을 말합니다. 일정한 토지에 건물을 신축하고자 할 경우 전체 토지면적과 건축법상 대지면적이 항..

[이사]갈때 아파트 선수관리비, 장기수선충당금, 관리비정산

이사를 갈때 이것 저것 챙겨야 할 것이 많지만 잊어버리면 안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선수관리비와 장기수선충당금입니다. ■ 선수관리비 아파트를 분양받아 입주를 하게 되면 아파트 최초 입주자는 예치금 성격인 선수관리비를 납부하게 됩니다. 아파트 관리비는 사용후 납부하는 후불제이기 때문에 아파트 공용부분의 관리 및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미리 받아 충당하는 것입니다. 입주를 위해 아파트 잔금을 정산할때 선수관리비를 납부해야 입주증을 발급해주기 때문에 무조건 납부를 하셔야 됩니다. 주택법시행령 제 49조에 따라 일정기간 동안 아파트를 직접 관리하는 경우 관리에 필요한 사무실 집기, 비품, 공구, 각종공과금납부등의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초기 입주자에게 선수관리비를 미리 받습니다. 보통 평당 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