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면좋은이야기 165

[건강]작두콩차 효능, 맛, 비염

몸에 좋은 차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나와 잘 맞는 차를 마시는게 더 좋을 텐데요 이번에는 작두콩차를 소개하겠습니다. 작두콩이라는 이름은 활모양으로 구부러진 꼬투리의 모양이 크고 작두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졌다는설과 콩깍지가 커서 작두로 잘라야 하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다른콩에 비해 확실히 크기가 큽니다. 작두콩은 고려시대 왕실에서만 약재나 식품으로 사용되었고 조선시대이후 고려말살정책으로 재배가 금지도 되었다고 합니다. 지금의 작두콩은 충청북도에서 중국의 헤이루장성과 자매결연을 맺으면서 선물로 받아 종자가 보급되기 시작하였다고 합니다. ■ 작두콩의 효능 본초강목에는 작두콩은 '장과 위를 보호하고 속을 따뜻하게 하여 신장의 기능을 돕고 원기를 보호해준다'. 종기나 치질, 화농성 지환(염증질환)에..

[주택청약] 무주택기간계산, 부양가족가점

아파트 가격을 보면 헉~ 소리가 저절로 나옵니다. 그나마 최선의 방법이 청약을 통해 주택을 구입하는 것인데 이방법도 당첨 확률이 낮아 어렵습니다. 가끔 신문에 아파트 청약을 위해 입양을 한다는 기사도 나옵니다. 왜 이런 극단적인 방법을 사용하는지 보니 당첨확률을 높이기 위한 편법인것 같은데 이 방법은 아닌것 같습니다. 청약가점을 보면 무주택 택기간(최고 32점), 부양가족(최고35점) , 통장가입기간(최고 17점) 총 84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부양가족은 배우자와 직계존비속을 포함하여 1명당 5점, 무주택기간은 1년마다 2점, 청약통장은 가입일이후 1년마다 1점씩 최초는 2점을 부여합니다. 부양가족 점수비중이 가장 높아 싱글은 당첨확률이 낮아집니다. ■ 청약가점항목 계산 1. 무주택계산 무주택기간 만..

[투자]어니스트펀드투자 수익률, 시중금리

어니스트펀드를 2016년 하반기부터 알게 되어 2016년 11월 첫 투자를 하게 되었습니다. 수익률(세전)11%대였던것으로 기억합니다. 2018년 1월현재 확인해 보니 수익률(세전)8.09%입니다. 총투자 채권수 107건중에서 부실이 6건 정상이 101건으로 수익률이 낮아진 것입니다. 상품판매할때 예상부도율이 0.5~0.6% 였고 지금현재 부도율이 0.57% 입니다. 포토폴리오 상품은 107개 채권에 분산투자를 하기때문에 예상수익률에서 1~2% 차이날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여기에 세금부분이 반영되니 실제 수익률은 더 낮아집니다. 지금현재 세후수익률은 6.39%로 나옵니다. 만약 여기에서 추가로 부실이 발생할 경우 세후 수익률이 6% 유지 할수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 P2P상품은 원금보장이 되지않기 때문에 ..

[법인대출] 지방세납세증명서 신탁용 발급, 동사무소필요서류

A법인에서 담보를 제공하고 대출을 받는경우 일반적으로는 담보물건에 근저당권을 설정하고 대출을 받습니다. 그러나 간혹 신탁등기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은행마다 상황마다 다 다릅니다. 신탁등기를 하는 경우는 보통 대출금을 더 많이 받기위한 경우일것입니다. 대출한도 금액을 산출할때 법인의 경우 임금채권의 금액을 예상해서 대출한도에서 공제하게 됩니다. 임금채권은 직원의 급여를 3년치 평균을 내서 9개월치를 공제합니다.(은행마다 다를수 있습니다) 신탁등기를 하기로 했다면 대출을 받는날 신탁사에 소유권을 넘기게 되고 은행은 우선수익권증서받게 되는 것입니다. 신탁사는 수탁자가 되고 A법인은 위탁자가 되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지방세 납세증명서는 정부24(민원24)에서 발급받으시면 됩니다. 그러나 신탁등기를 하는경우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이란? 보증수수료, 보증료, 보증한도

전세보증금의 경우 살고 있는집이 경매에 넘어가거나 혹은 만기가 되었을때 전세금을 제때 돌려받지 못할까 걱정을 하기 마련입니다. 세입자는 주인에게 '을'일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2018년 2월 1일 부터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전세보증금 반환'상품에 가입할때 임대인 동의여부와 상관없이 가입할수 있도록 개선 되었습니다. 또 보증금 한도도 수도권은 7억원, 지방은 5억원으로 상향 되었습니다. ■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이란? 전세계약 종료시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반환해야 하는 전세보증금의 반환을 책임지는 보증입니다. 즉, 전세계약이 종료된후 임대인이 전세금을 돌려주지 않을 경우 보험회사가 내 전세보증금을 보상해주는 제도 입니다. 보증기간은 보증서 발급일로부터 전세계약기간의 만료일 후 1개월까지 입니다. ■ 보..

[주식]삼성전자액면분할 50대1, 삼성전자배당율

삼성전자가 2018년 1월 31일 액면분할을 발표했습니다. 31일 종가가 2,495,000원으로 50대 1로 액면분할은 하면 49,900원으로 대략 5만원선으로 낮아질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시가총액이 300조원이 넘는 국내 대표적인 대장주입니다. 발행주식 총수는 보통주 기준 현재 1억2,838만6,494주에서 액면분할로 64억1,932만4,700주로 늘어나게 됩니다. ■ 삼성전자 액면분할 일정 2018년 3월 23일 주주총회를 개최 액면분할은 주주총회의 정관 변경이 필요합니다. 2018년 4월 27일까지 거래되며, 5월 30일 부터 5월03일까지 매매거래가 정지됩니다. 2018년 5월 04일 부터 분할주식의 거래가 됩니다.(신주권 상장일) ■ 삼성전자 배당률 삼성전자의 액면가는 주당 5,0..

[국민연금]납부예외란? 예외신청

직장인의경우 급여 받을때 국민연금을 원천징수 당하기 때문에 일종의 세금이다 생각하고 납부하게 됩니다. 하지만 사업을 새로 시작한 사업자의 경우 매출이 없는 상태에서 국민연금을 납부해야 한다면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이경우 국민연금 납부 예외를 신청하시면 됩니다. 또한 직장인의 경우 실직으로 인하여 소득이 없을 경우 납부 예외 신청을 하면 됩니다. ■국민연금 납부 예외란 실직, 사업중단 등으로 소득이 없게 되었을때, 국민연금 공단에 신청하여 일정기간 동안 보험료 납부를 면제 받는 것입니다. 하지만 납부예외 기간은 연금금액 산정시 가입기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납부예외 기간의 연금보험료는 나중에 추가납부를 한후 가입기간을 추가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납부예외 신청은 사업장 가입자나 지역가입자를 대상으로 ..

[국민연금]부양가족연금, 부양가족수당, 부모님용돈, 신청서류

국민연금에서 지급하는 부양가족연금 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정식명칭이 부양가족연금이고 흔히 부양가족 수당이라고도 합니다. 저는 처음 들어봤는데 모르는 분들이 많은것 같아서 부양가족연금이 어떤것이지 알아보겠습니다. ■부양가족연금이란? 국민연금을 받는 사람에게 부양가족이 있는 경우 가족수당 성격의 추가급여를 지급하는데 이를 부양가족 연금이라 합니다. 국민연금에서 지급하는 연금급여(노령연금, 장애연금(장애등급1~3급), 유족연금) 수급권자에게 생계를 유지하는 배우자, 미성년 자녀(만19세 미만), 고령의 부모(만60세 이상)가 있을 경우 가족수당 성격의 급여를 기본연금에 추가해서 지급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흔히 국민연금이라고 하는것은 노령연금으로 매월 급여받을 때 원천징수당하는 것입니다. ■부양가족연금 대상..

[건강보험]2018년 요율인상 6.24%, 건강보험상한액

2018년시작과 함께 최저임금이 올랐습니다. 그리고 건강보험요율 또한 인상되었습니다. 2017년 6.12%에서 2018년 6.24%로 0.12% 인상되었습니다. 건강보험에 따라오는 장기요양보험요율(건강보험료의 6.55% →7.38%)도 인상되었습니다. 건강보험은 급여지급시 미리 공제를 하기때문에 체감하지 못 할 수도 있지만 인상되었습니다. ■ 2018년 건강보험인상율 건강보험이 오르면서 장기요양보험율도 8년 만에 인상되었습니다. 고령화에 따른 현상입니다. 2018년 1월급여시 반영하시기 바랍니다. 직장인 건강보험 인상과 함께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도 인상이 되었습니다. 지역가입자는 보험료 부과점수에 부과점수당 금액을 곱하여건강보험료가 산출이 됩니다. 그래서 부과점수당 금액이 2017년 179.6원에서 2..

[국민연금]상한액, 하한액, 60세이상추가납입

국민연금이 소득대체율 하락으로 연금으로서의 매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또하나 재정이 바닥나 못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2013년 3차 재정계산에서 600조원 수준인 국민연금 재정이 2060년에 고갈된다고 예측했고, 국회예산정책처는 지난해 내놓은 장기재정전망에서 적립금이 2058년에 모두 바닥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국민연금이 도입된 1988년 연금의 소득대체율은 70%에 달했습니다. 그러나 국제통화기금(IMF) 사태 여파로 1차 개혁이 단행된 1998년엔 60%로 떨어졌고, 재정 고갈을 막고자 2차 개혁을 시행한 2007년에는 50%로 또다시 조정됐습니다. 매년 0.5%포인트씩 인하하는 정부 정책에 따라 현재의 소득대체율은 45.5%에 머물고 있습니다. 또 2028년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