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이야기/생활속세금 100

주식 양도소득세 의제 취득가액 ?

2023년부터 주식 보유액이나 지분율에 상관없이 1년 동안 양도차익이 5,000만 원을 넘게 되면 양도소득세를 내게 됩니다. 그래서 세금 때문에 2022년 말 주식 일부를 팔아야 되는 것 아닌지 걱정하는 분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소액주주라면 의제 취득가액이 있으니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의제 취득가액이란? 소액주주가 주식을 실제 취득한 가격과 2022년 마지막 거래일 종가 중 큰 금액을 취득가액으로 할 수 있습니다. 즉, 자신에게 유리한 쪽을 선택해 양도소득세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과세 시행 전 세금을 적게 내기 위해 미리 매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아래 표처럼 소액주주가 2021년 주당 10만 원의 주식 1천 주를 매수하여 2023년에 매도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비트코인 세금 취득가액은?

비트코인 하루 거래대금이 주식 거래소 거래대금보다 높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2021년 가장 뜨거운 단어 중 하나일 것 같습니다. 코인 투자를 하는 사람도 하지 않는 사람도 다들 고민 중일 것입니다. 2022년부터 가상화폐 투자에 대한 세금이 부과됩니다. 2021년 말까지의 거래에 대해서는 비트코인 세금이 없습니다. ◆비트코인 세금은? ▶세율, 적용시기 2022년 1월 1일부터 가상화폐로 얻은 수입은 '기타소득'으로 분류되고 세율은 20%입니다. 여기에 지방소득세 10%가 추가되어 총 22%가 됩니다. 가상자산(비트코인)은 기타 소득으로 보아 연간 공제액이 250만 원입니다. 반면에 주식투자 차익은 금융투자소득으로 보아 연 소득 5,000만 원이 공제됩니다. 연 1회 신고 납부 입니다. 2022년 거래분은..

3.29대책 토지양도소득세율, 주말농장 비사업용토지

2021.03.29 부동산 투기 근절 및 재발방지대책 발표가 있었습니다. LH 사태로 대부분의 국민들이 허탈감을 느꼈을 것입니다. 최근 몇 년의 문제가 아니라 오랫동안 내부정보를 이용하고 투기를 했지만 그동안 대가를 치르지 않고 방치된 결과가 지금 터져 나온 결과일 것입니다. 사람들이 내부정보를 이용해 부동산 투기를 하는것이 잘못된 것이라는 걸 알면서도 했던 이유가 잘못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지 않아서 일지도 모릅니다. 이익보다 손해가 크다면 하지 않을 것입니다. ■ 토지 양도소득세율 인상 ▶ 2022년 1월 1일부터 단기간 보유한 토지에 대한 양도소득세율이 인상됩니다. 단기보유 토지의 경우 주택 · 입주권 등과 동일하게 중과합니다. 지금 현재 기본세율(6~45%)에 중과세율 20%가 추가됩니다. 1년 미..

[연말정산]정치자금기부금 계산

기부금은 자동이체라는 말도 있습니다. 소액이지만 꾸준히 하는것이 중요한 일인데요. 자동이체 해 놓고 잊고 있다가 연말정산때 한번씩 챙기면 될것 같습니다. 몫돈을 하는것 보다 소액이지만 꾸준히 하면서 당신도 누군가에게 도움을 준다는 뿌듯함을 느껴 보시기 바랍니다. 기부금도 법정기부금, 정치기부금, 지정기부금, 비지정기부금등 종류가 다양합니다. 이들중 정치기부금을 했을때 얼마정도 공제 받을수 있는지 보겠습니다. 기부금은 공제한도가 있어 당해년도에 다 공제받지 못하면 다음해로 이월시켰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기부금산입순서가 당해년도 먼저 그다음이 이월기부금 순서 였습니다. 이월기부금이 많을 경우 계속 뒤로 밀리다보면 공제기간이 지나버릴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2020년 부터 기부금공제 계산때 이월기부금을 먼저 산..

[기부금]물품구매후 분개

'기부' 참 좋은 단어입니다. 그런데 막상 하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다음에 다음에 미루다 보면 1년이 또 지나갑니다. 제일 좋은 방법은 소액이지만 자동이체 일것입니다. 저도 소액을 자동이체 하다보면 벌써 몇년이 지나고 있습니다. 평소에 지나가 연말정산할때 기억하게 됩니다. ◆기부금이란? 법인의 업무와 관련없는 지출로 기업회계기준상 비용으로 인정되지만 세법상으로는 업무무관비용으로 손금불산입하는것이 원칙입니다. 하지만 공익목적으로 지출되는 기부금에 대해 한도를 정해 손금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그럼 회사에서 물품을 구입한 후 기부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요즘 마스크를 구매해서 단체에 기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경우 법인A는 업체B에서 마스크를 구입한후 사랑의 열매(C)에 기부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법인..

[증여]취소시 증여세, 취득세는

아파트 가격이 많이 올라 서민들은 힘들다고 하지만 여유있는 분들은 자녀들에게 증여를 많이 한다는 기사가 나옵니다. 그럼 증여를 했다가 취소를 하는 경우 세금은 어떻게 될까요? 크게 두가지로 금전(현금) 증여와 부동산 증여로 나눠 보겠습니다. ◈증여세 신고기한 증여세는 증여받은 날이 속하는 말일부터 3개월 이내에 신고를 해야합니다. ◈금전(현금)증여 원칙적으로 세법은 수증자가 증여재산을 당사자 간의 합의에 따라 증여받은 날이 속하는 말일부터 3개월 이내에 증여자에게 반환하면 처음부터 증여가 없었던 것으로 보고 증여세를 부과하지 아니합니다. 그러나 증여재산에 '금전은 제외한다'고 규정하여, 수증자가 다시 당사자 간의 합의에 따라 금전을 증여자에게 반환하더라도 수증자의 납세의무는 변함이 없습니다. 예를 들어 ..

[자동차세]납부시기, 연납신청

해마다 돌아오는 세금 중 하나인 자동차세금 6월,12월은 자동차세 내는 달입니다.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개인 또는 법인이 내는세금으로 지방세입니다. 자동차를 이전, 말소하거나 비과세 감면에서 과세대상으로 전환하는 경우는 일할계산하여 고시서를 받게 됩니다. ◈자동차세 부과대상 자동차세는 자동차 등록원부상 소유자에게 고지서를 발송합니다. 과세기간중 소유권이 변동된 경우는 매도자와 매수자의 소유기간별로 안분하여 각각 과세합니다. ◈자동차세 납부기간 ◈자동차세 연납제도 자동차세를 미리 납부하는 경우 최대 10% 할인을 받을수 제도입니다. 연납신청을 한번하면 매년 1월에 인터넷지로로 고지서가 와 있습니다. 1년에 한번 1월에 조회한후 납부를 하고 있습니다. 저는 6월이 자동차보험 갱신하는 달이라 이렇게 연납을 ..

[연말정산]퇴직연금 중도인출시 부분인출 or 전액인출

직장인의 경우 연말정산때 세금을 절약하기 위해 퇴직연금을 추가 납입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중도해지시 개인이 추가로 납부한 금액중 연말정산으로 세액공제를 받은 금액은 기타소득으로 15%+주민세 1.5% 총 16.5%의 세금을 공제후 받게 됩니다. 개인부담금 1,000만원인중 세액공제 받은 금액이 700만원, 공제받지 않은 금액이 300만원 일경우 700만원은 기타소득으로 16.5%세금을 공제한후 5,845,000원을 주고 공제받지 않은 300만원은 그대로 받겠됩니다. 그래서 퇴직연금에 있는 돈을 중도 인출해야 할 경우 전액다 인출하는것 보다 부분인출을 하는것도 한 방법입니다. 만약 퇴직연금에 6,000만원의 돈이 있고 회사부담금이 5,000만원, 개인이 추가로 납부한 금액이 1,000만원일 경우 6천..

[부동산] 증여취득세율 적용시기 1세대범위

근로소득과 자본소득이 충돌하면 어떻게 될까요? 인류역사상 근로소득이 자본소득보다 많았던 적은 없었다고 합니다. 월급만 받으면 부자가 될수 없고 일정한 금액을 모아서 투자를 해야 더 빨리 돈을 벌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부동산에 관심을 가지는것은 이해하지만 지나친 과열은 항상 문제를 동반합니다. 그래서 부동산 대책이 나올때 마다 주택유무에 따라 상반된 입장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 증여 취득세율 2020년 7월 10일 부동산 대책개정안이 8.4일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적용시기는 8월 12일 이후 납세의무 성립분부터 적용됩니다. 단 7월 10일 이전 계약분은 종전 규정을 적용합니다. 증여취득세율은 조정대상지역 3억원이상 주택 증여시 12%가 적용되고, 비조정지역은 3.5%가 적용됩니다. 단, 1..

[부동산]계약파기 위약금의 세금은? 기타소득

돈을 주고 받는 거래에는 세금이 항상 따라 다닙니다. 거래금액이 크지 않은 경우 주는사람도 받는사람도 신경쓰지 않고 과세당국(관할세무서등)은 알수가 없기 때문에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동산거래에서 위약금이 발생한다면 세금문제는 어떻게 될까요? 소득세법에 따르면 위약금은 "기타소득"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때 필요경비가 인정되지 않는 기타소득으로 전체금액에 대해서 세율 20%가 적용됩니다. 여기에 주민세 10%가 있습니다. ▣매도자에 의한 계약파기 아파트를 5억에 매매하기로 하여 계약금 5천만원을 받은 상태에서 매도인의 사정으로 계약이 파기되었을 경우를 가정하겠습니다. 이경우 매도자는 계약금으로 받은 5천만원과 위약금 5천만원을 매수자에게 지급합니다. 위약금 5천만원에 대해서는 세금(원천징수세액)을..